- 사회책임투자채권이란?
- 사회책임투자(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: SRI) 채권은 발행자금이 친환경 또는 사회적 이득을 창출하는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채권으로 녹색채권, 사회적채권, 지속가능채권을 지칭합니다. 또한 발행자와 시장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ESG채권, Thematic채권, 사회공헌 채권이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.
- 녹색채권(Green Bond, 그린본드)
-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프로젝트나 사회기반시설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
- 사회적채권(Social Bond, 소셜본드)
- 사회가치 창출 사업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
- 지속가능채권(Sustainability Bond)
- 환경 친화적이고 사회가치를 창출하는 사업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
- SRI채권 원칙
- 사회책임투자채권에 대한 요건을 규정하는 국내 법률 및 기준 등은 없으며, 국제적으로 국제자본시장협회(International Capital Markets Association, ICMA)에서 제정한 녹색채권원칙(Green Bond Principles, GBP), 사회적채권원칙(Social Bond Priciples, SBP), 지속가능채권 가이드라인(Sustainability Bond Guidelines) 및 국제기후기구(Climate Bond Initiative, CBI)에서 개발한 기후채권표준(The Climate Bond Standards, CBS)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.
- 녹색채권원칙(The Green Bond Principles, GBP), 사회적채권 원칙(The Social Bond Principles, SBP) 및 지속가능채권 가이드라인(Sustainability Bond Guidelines)
- 녹색채권, 사회적채권, 지속가능채권 발행에 관한 자발적 프로세스 가이드라인으로 4개 핵심 구성요소(자금의 용도, 프로젝트 평가 및 선정 절차, 자금의 관리, 사후보고)로 구성
- 기후채권표준(The Climate Bond Standards, CBS)
- 채권 또는 기타 채무상품의 녹색채권으로서의 자격을 검증하기 위한 기준으로 녹색채권원칙과의 연계를 토대로 자금사용·추적·보고에 대한 명확한 의무사항, 저탄소 및 기후적응 프로젝트· 자산의 적격성에 대한 구체적 기준, 독립적 검증자 및 명확한 절차로 구성된 인증체계, 독립된 기후채권표준 이사회(Climate Bond Standard Board)에 의한 인증 등으로 체계로 구성
- SRI채권 발행가이드라인
- 사회책임투자채권 발행절차는 일반적인 채권 발행절차와 유사하나, 사회책임투자채권으로서의 특성을 반영한 절차가 추가된다는 점에서 몇 가지 차이가 있습니다.
- 사회책임투자채권 관리체계(framework)
- ‘자금의 용도(Use of Proceeds)’, ‘프로젝트 평가 및 선정 절차(Process for Project Evaluation & Selection)’, ‘자금의 관리(Management of Proceeds)’, ‘사후 보고(Reporting)’ 등의 핵심 내용이 포함
- 외부검토(external Review)
- 사회책임투자채권 관리체계가 적용기준(GBP, CBS, SBP, Sustainability Bond Guidelines 등)에 부합하는 지 여부를 검토
- 사후보고(Reporting)
- 자금사용 현황 및 채권 발행의 환경적·사회적 효과에 관한 정기보고

- SRI채권 전용 세그먼트 등록 절차 안내
-
- 한국거래소가 정한 등록요건을 충족하는 채권인지 여부를 확인
-
※ 전용 세그먼트 등록요건(사회책임투자채권 전용 세그먼트 운영지침 제4조)
- 1.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채무증권일 것
- 2.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회책임투자채권 원칙 등에 부합할 것
-
- 가. 국제자본시장협회의 「녹색채권 원칙(Green Bond Principles)」, 「사회적채권 원칙(Social Bond Principles)」 또는
- 「지속가능채권 가이드라인(Sustainability Bond Guidelines)」
- 나. 국제기후채권기구의 「기후채권기준」
- 다. 그 밖에 거래소가 인정하는 사회책임투자채권 원칙 등
-
- 등록신청서 및 관련 서류 등을 제출
- 거래소의 등록여부 결정
- 등록결정 통보 및 완료
- ESG·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거래소의 지원
- 거래소는 그간 상장기업의 사회적책임 확산과 녹색금융 및 지속가능금융 활성화를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.
- 2010년, ESG 정보공시에 대한 기준 도입
- 2015년, SSE Initiative
가입
Sustainable Stock Exchanges(SSE) Initiative : 거래소를 통해 기업의 환경(Envrionment)․사회적 책임(Social Responsibility)․지배구조(Governance)를 장려하기 위해 UN 주도로 발족 - 2015년, ESG지수 발표 등 관련 지수상품 개발
- 2020년, 사회책임투자채권 전용 세그먼트 개설
- 향후에도 ESG·지속가능경영 활성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.